카테고리 없음

자율주행 차량의 단계별 수준

모나미짱 2023. 4. 4. 10:00
반응형

자율주행차의 자율주행 레벨은 SAE International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에 따라 정의되고 있습니다. SAE는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의 약어로, 국제 자동차 엔지니어 및 기술자들의 연합체로서 자동차 및 관련 산업 분야에서 기술적인 표준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SAE에서는 자율주행 레벨을 0부터 5까지 총 6개의 레벨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수동운전 (No Automation) : 운전자가 모든 운전을 수행하는 레벨입니다.
도우미운전 (Driver Assistance) : 운전자를 보조하는 기능이 탑재된 레벨입니다. 예를 들면,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자동 긴급 제동 등이 있습니다.
부분자율주행 (Partial Automation) :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만 일부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레벨입니다. 운전자는 항상 차량 운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일부 상황에서 차량이 자율적으로 주행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조건부자율주행 (Conditional Automation) : 차량이 일부 조건에서 완전히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전자는 언제든지 운전에 개입해야 합니다.
고도자율주행 (High Automation) : 차량이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개입해야 합니다.
완전자율주행 (Full Automation) : 차량이 모든 상황에서 완전히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자율주행 레벨은 차량 제조업체와 자율주행 기술 개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각 레벨별로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어떤 수준의 자율주행이 가능한지 등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현재 테슬라의 차량은 레벨2에 해당되며 최근 벤츠의 EQS 차량이 레벨3로 출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테슬라 차량이 레벨3가 아니라는 사실이 조금 충격적이네요. 앞으로 레벨5단계가 실현되어 로봇택시 시대가 열리기를 기대해보겠습니다. 그 시작은 테슬라가 되기를.. 홧팅!! TESLA Forev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