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브랜드(No-brand) 상품 전략
노브랜드 상품 전략은 브랜드 이미지 대신 제품 자체의 기능과 성능, 가격 등을 중시하는 전략입니다. 즉, 브랜드 이름이나 로고를 부착하지 않은 상품을 생산 및 판매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된 추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제품의 실제 성능과 기능에 대한 가치를 더 중시하게 되며, 브랜드 이름이나 로고가 부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신뢰성 있는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노브랜드 상품 전략은 대표적으로 의류, 식품, 전자제품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노브랜드 의류는 디자인은 간소하지만 기능과 품질은 우수한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브랜드 상품은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주로 판매되며, 가격 경쟁력이 높아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브랜드 상품 전략은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된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노력이 줄어들어 제품 경쟁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노브랜드 전략을 적용하는 몇개 기업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의류 분야에서는 유니클로가 대표적인 노브랜드 전략 기업입니다. 유니클로는 기능과 품질에 초점을 맞춘 제품을 생산하고, 브랜드 이미지나 로고를 크게 강조하지 않고, 깔끔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을 선보입니다. 이러한 전략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름이나 로고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제품을 구매해도 품질과 성능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제품 분야에서는 하와이안산업(Hawaiian Industry)이 노브랜드 전략을 적용하는 기업입니다. 하와이안산업은 가전제품, 생활용품,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브랜드 이름이나 로고를 부착하지 않고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고, 소비자들은 제품의 성능과 기능에 집중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식품 분야에서는 코스트코가 노브랜드 전략을 적용하는 기업입니다. 코스트코는 자체 브랜드인 커클랜드(Kirkland)를 선보이며, 제품에 브랜드 이름이나 로고를 부착하지 않고 판매합니다. 이러한 전략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며, 높은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름이나 로고에 대한 추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도 이마트의 노브랜드 전략 뿐만아니라 롯데마트의 PB(Private Brand) 제품으로 PB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